한 연구에 따르면 한국 영유아의 91.8%가 생후 1000일 동안 권장 범위 내에서 DHA를 섭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유 수유를 중단하거나 성장 중에 분유를 포기한 영아는 실제로 DHA 섭취에 가장 취약한 그룹이었습니다.
"2018 대한 영양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유진 박사와 영양과학학회인 DSM은 "국민건강 영양학 리뷰 2010-2015"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 Survey' for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CPUFAs) and Essential Fatty Acids (EFAs)는 식이 섭취와 전구체 공급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본 연구는 출산부터 모유수유까지(365일), 2년 차(365일)까지 임신기간(270일)을 포함하여 약 1,000일에 걸친 "생후 1000일"의 기간에 초점을 맞추었다.
2004년 유니세프가 “산모와 아이의 영양섭취는 매우 중요하며 이때 형성되는 기초건강은 어린이의 신체건강과 평생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말한 시기이다.
그 결과 임산부(190명), 수유부(219명), 12~24개월 영유아(420명) 3군 평균 필수지방산 섭취량은 권장 범위에 속했으나 약 80% 12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임산부와 수유부 중 91.8%의 영아가 권장 섭취량에 비해 DHA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이유식을 먹인 영유아가 임신과 수유 중보다 DHA 섭취에 더 취약하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
DSM의 수석 연구원인 Femke Hannes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현재 DHA는 뇌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약 10~15%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오메가 3입니다. DHA 섭취는 빠른 뇌 성장과 함께 시작되어 빠르게 축적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이 시기를 놓치면 장단기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DHA를 올바르게 섭취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펨케 선임연구원은 “아기 수유 기간에는 모유 수유가 불가능해지면 뇌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가 고갈되기 쉽기 때문에 일일 영양 섭취량에 주의가 필요하다. 권장량을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공포를 이겨내는 면역 강화식품 6가지 (0) | 2022.10.07 |
---|---|
식욕이 폭발하는 '겨울'에는 무엇을 먹어야 할까? (0) | 2022.10.06 |
2월 제철음식, 매운 '대구탕' 만드는 방법과 효능은? (0) | 2022.10.04 |
면역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베타 글루칸"을 섭취합시다 (0) | 2022.10.03 |
다양한 '비타민 B', 어떤 비타민 B를 선택해야 할까요? (1)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