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방정환 과거 문제

by 워낙3 2022. 7. 25.
728x90
반응형

過去 問題 [과거 문제]

옛날 아주 옛날, 우리 나라에 몹시 어진 임금이 한 분 있었습니다. 아무쪼 록 다스려가는 데 잘못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항상 백성들의 살아 가는 모양을 보고 싶어하였습니다. 그래 가끔 가끔 한 지나가는 행인처럼 복색을 차리고, 다만 혼자 남의 눈에 뜨이지 않게 백성들 틈에 끼어서, 거 리를 돌아다니고 돌아다니고 하였습니다.

하룻밤에는 가난한 사람들만 사는 듯 싶은 쓸쓸스런 동네를 거닐려니까, 어느 조그만 쓰러져 가는 집 속에서, 이상한 소리로 노래를 부르는 소리가 들리었습니다.

“대체 우습기도 하다. 노래하는 소리가 울음 소리 같구나!” 하고, 임금은 가깝게 가서 그 다 쓰러진 오막살이집 뚤어진 창 틈으로 가만 히 들여다보았습니다.

보니까, 이상한 일도 많지요. 이십 오륙 세 되어 보이는 아름답게 생긴 젊 은 여자가, 머리는 중처럼 새빨갛게 깎고, 춤을 덩실덩실 추고 있고, 그 옆 에 삼십 세쯤 된 마른 남자가 한 사람이 앉아서, 눈물을 줄줄 흘리면서 우 는 소리로 노래를 부르고 있습니다.

점점 이상하여, 이 집이 혹시 도깨비집이나 아닌가 싶어, 더욱 궁금한 마 음으로, 두 눈을 씻고 자세히 들여다본즉, 그 두 남녀의 옆에는 한 늙은 영 감이 엎드려 흑흑 느껴 울고 있었습니다.

“하하 이것은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는 모양이다!” 하고, 임금은 참다 못하여 그 다 쓰러져 가는 이상한 집 대문을 열고, 쑥 들어갔습니다.

“여보시오, 나는 길 가는 사람이올시다만, 묻고 갈 것이 있어서 들어왔는 데, 대체 당신들이 울면서 노래를 부르고, 젊은 부인이 머리를 깎고 춤을 추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그 집의 세 사람은 그가 임금인 줄은 알지 못하나, 지나가는 행인이로되, 보아하니 점잖고 귀하게 생긴 인물이라, 의심할 것 없이 엎드려 울던 영감 이 일어나서 숨김없이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지금 우는 소리로 노래를 부른 것은 우리 아들이고, 춤을 추던 머리 깎 은 여자는 우리 며느리랍니다. 나는 몸이 늙은 위에, 벌써 삼 년 전부터 고 치지 못할 중병이 들어서, 이 날까지 마당에도 내려가 보지 못하고 앓고만 있는데, 요사이는 아들까지 병이 들어서 돈벌이를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 우리 며느리가 여자의 몸으로 품삯을 팔아서 우리 부자를 먹여 오기는 하였 으나, 약 한첩 지어 올 돈이 없었답니다. 그런데, 오늘 다리꼭지 장수가 와 서, 우리 며느리의 머리가 좋은 것을 보고, 하도 탐스러워서 ‘돈을 많이 줄 터이니 팔지 않을 터이냐?’고 하기에, 내가 안 판다고 하였건만, 며느 리가 우리 모르는 동안에 자기 머리를 빨갛게 깍아서 팔아 버렸습니다그 려……. 그래, 그 돈으로 우리 부자의 약을 사 온다고 하기에, 약값은 장만 되었으나, 내 마음에 며느리가 하도 불쌍하여서 눈물을 흘리고 울고 있으니 까, 우리 아들이 효성스런 사람이라 나를 위로하느라고 노래를 부르는데, 부르기는 부르지만 제 마음도 슬퍼서 그렇게 우는 소리로 노래를 불렀답니 다. 그러니까, 우리 부자의 마음을 위로하느라고 머리를 깎은 며느리가 그 렇게 춤을 추고 있었답니다.” 이야기하는 중에도 슬픔을 못이겨 흑흑 느껴가며 하는 말을 끝까지 듣고, 임금님도 눈물이 흐르는 것을 금치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세상에 이보다 더 마음이 착하고 효성이 지극한 사람들은 다시 없으리라고, 더할 수 없이 감복하였습니다.

“참말 감복할 일입니다. 이렇게 착하고 효성스런 사람이 만일 이 나라에 제일 높은 대신이 된다 하면, 얼마나 백성을 친절하게 잘 다스리겠습니 까.”

하니까, 세 식구는 눈이 둥그레졌습니다.

“예엣? 대신이 되라구요?” “정말입니다. 당신 같은 이가 이 나라 대신이 되었으면 오죽 좋겠습니까!

옳지, 내일 모레 아침부터 대궐 안에서 큰 과거를 보이니, 그 날 가서 과거 를 보아 대신이 되십시오” 하였습니다.

“처, 처, 천만예요. 저는 인제 간신히 편지나 한 장 쓸 만밖에 못되는데 요. 대신이 무업니까.”

“아니오. 대신 노릇은 반드시 글을 잘 해야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어쨌 든지 그 날 가서 보시구려……. 문제는 아주 쉽게 날 터이니!” 하고, 임금은 아무쪼록 그 날 과거를 보라고 친절히 권하고, 그 집을 나와 버렸습니다.

이상한 행인이 나간 후에 세 식구는 의논이 분분하였으나, 모두 생각하기 에 암만해도 그 사람이 보통 행인이 아닌 모양이니, 그 말대로 과거를 보아 보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습니다.

다음 다음 날이 되었습니다. 대궐 안에서는 큰 과거를 보인다고 천하에 글 잘하는 학자란 학자는 모두 모여들어서 장안이 벌컥 뒤집힌 것 같았습니다.

제각기 장원할 듯이 잘 차리고 거드럭거리면서, 대궐로 모여 들어가는 학자 들 틈에, 더러운 해진 옷을 입은, 그 울면서 노래를 부르면 불쌍한 아들도 섞이어 있었습니다.

모든 학자들이 가슴을 두근거리면서, “무슨 문제가 나려노?”

하고 기다리고 있는데, 이윽고 내어 걸린 문제를 보니까, 父泣(부립 ; 아비는 울고) 夫歌(부가 ; 지아비는 노래부르고) 婦舞(부무 ; 며느리는 춤추다.) 이러하였습니다.

난다 긴다 하는 학자들도, 아무리 고개를 이리 틀고 저리 틀고 하면서 궁 리하여도,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고, 암만 머리를 썩히고 생전에 배운 것을 다 생각해 보아도, 아무 책에도 그런 것이 적히어 있는 책이 없었습니다.

생각하다 못하여, 아무렇게나 우물쭈물 써 들여간 사람도 있고, 또는 아무 것도 못 쓰고 흰 종이를 그냥 바치어 모두들 낙제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이상한 문제를 잘 알고 글을 잘 지어서 급제하여 뽑힌 사람이 단 한 사람 있었습니다.

그 후, 그 사람이 대신이 되었을 때, 대신의 부인은 머리가 없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나라를 잘 다스리고, 부인은 시아버지를 잘 봉양하여 늙도록 잘 살았습니다.

<≪어린이≫, 1925년 7월, ≪소파 전집≫(박문 서관 간) 대조>

 

[상기 저작물은 저작권의 소멸 등을 이유로 저작권 보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반응형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원록 자야곡  (0) 2022.07.26
윤동주 나무 나의 습작기의 시 아닌 시  (0) 2022.07.26
김정식 안서 김억 선생님에게  (0) 2022.07.25
강경애 봄을 맞는 우리집 창문  (0) 2022.07.25
나도향 그믐달  (0) 2022.07.23

댓글